전기통신금융사기(무단 계좌이체, 대출, 이동전화 개통) 대응조치
https://vipp.kr/wp/?p=267
■ 가족사칭 “휴대폰 깨졌다” 접근 폰 원격제어(TeamViewer QuickSupport 설치유도) → 비대면대출/오픈뱅킹 취약점 이용 피해자 계좌조회 및 입출금 → 범행 대포계좌 또는 가상계좌로 이체송금.
① 신분증 재발급
(신분증[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등] 촬영해서 보내준 경우 → 분실신고후 재발급: 발급일자, 인증값 등 변경됨)
② 엠세이퍼(이동전화 무단 개통확인 및 각 알뜰폰 이통사에 전화해서 정지 또는 해지)
– 엠세이퍼(www.msafer.or.kr) 이동전화 가입사실현황조회(공동인증서, 네이버인증, 카카오인증 가능)
– 엠세이퍼(www.msafer.or.kr) 가입 (핸드폰 신규개통제한서비스->노출된 분의 이름으로 휴대폰개통제한 조치)
※ 피해자의 공동인증서, 계좌가 이미 정지된 상태가 많음(공동인증서 사용불가 상태), 네이버인증/카카오인증이 이미 있는 경우 네이버인증/카카오 인증으로 엠세이퍼 로그인가능, 네‧카인증을 만들려면 피해자 명의 계좌 1원입금 인증절차를 통과해야하는데, 피해자 사용계좌가 입출금정지된 경우가 많으므로 피해자명의 다른 은행 계좌로 1원 인증 시도해서 네‧카인증서 발급받아 사용.(예: 농협은 입금이 안되는데 우체국이 되는 경우
③ [중요] payinfo.or.kr (금융결제원 제공)
한번에 내 계좌목록, 카드목록, 오픈뱅킹목록 확인, 지급정지, 계좌해지
※공동인증서/금융인증서(주거래은행 뱅킹어플 연동하여 생성가능) 로그인 필요
④ [유료] 명의도용방지 서비스가입(1~2만원대의 유료이나 일정기간 가입권장)
(NICE평가정보 나이스지키미(www.credit.co.kr) → 화면 중하단 쯤보면 → [NICE지키미로 지키는] → [신용정보] →우측에 [BASIC 명의 도용지키미])
⑤ [선택사항] 개인정보 노출자 사고예방시스템 사고등록 (시중은행에서도 신분증 소지후 등록가능)
(금융감독원 파인(fine.fss.or.kr) → 소비자보호→ 개인정보노출등록·해제 → 개인정보 노출자 사고예방시스템 입력)
(금융거래 이용제한(인터넷뱅킹제한등)많으므로 내용 확인 필요) / 금융감독원 1332 [불법사금융피해신고센터]
⑥ 기타 조치
통신사콜센타에 소액결제+구글결제(컨텐츠결제) 차단, 결제한도는 0원 또는 최소1000원으로 변경
범행 문자 대화내용등 캡처보관, 주소록 백업 후 휴대폰초기화(직접초기화 또는 폰대리점, 삼성LG서비스센타)
기존 뱅킹어플 인증수단 및 이체비밀번호 등 모두 변경/재설정,
피해신고 외 피해계좌 은행방문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구제신청 접수(출금이체 피해가 있는 경우)
사이버블록 대응팁
가족암호 정해 가족만 공유(예: 해피, 바람돌이) → 사칭접근시 가족암호 확인.
※비대면인증 대출 + 오픈뱅킹 + 비대면 폰개통 + 사설인증서허용 + 스마트폰 구조에서
사람을 기망할 경우 요즘은 시스템적 금융인증절차 보안이 무력화 되는 현실입니다.
가족사칭 피해 대화를 보면 자녀여부를 묻는등 의심을 하나 대부분 속습니다.
가족암호를 정하고, 우리암호는? 물으세요!
조금이라도 이상할 때는 가족만 알수 있는 내용을 질문하세요!
이상하면 폰 전원을 끄세요!(폰을 재시작 할경우, 원격지원 팝업뜨면 거부, QuickSupport 어플삭제)
피싱꾼이 미리 피해자폰에서 자녀번호 변경, 수신차단하므로 주변다른 전화도 이용 자녀와 통화 확인하세요.